플라톤아카데미TV
플라톤아카데미TV
  • 651
  • 64 925 821
[3부 티저] 20분의 기적 '내 마음 설명서' (SBS방송) 재단법인 플라톤 아카데미 후원
[3부 티저] 20분의 기적 '내 마음 설명서' (SBS방송) 재단법인 플라톤 아카데미 후원
-일시: 5월 26일 (일)
-시간: 밤 11시 5분
-채널: SBS
마음 챙김 명상 프로젝트를 통해 우리의 몸과 마음을 치열하게 살펴보는 여정
##명상 #meditation #내마음설명서 #마음챙김 #SBS #방송 #플라톤아카데미
Переглядів: 1 533

Відео

[2부 티저] 20분의 기적 '내 마음 설명서' (SBS방송) 재단법인 플라톤 아카데미 후원
Переглядів 2 тис.Місяць тому
[2부 티저] 20분의 기적 '내 마음 설명서' (SBS방송) 재단법인 플라톤 아카데미 후원 -일시: 5월 19일 (일) -시간: 밤 11시 5분 -채널: SBS 교육의 중심지 강남 8학군에서도 혁신의 중심지 워싱턴의 초등학교에서도 명상 수업을 도입했다! 명상은 집중력과 인지력을 기를 수 있고, 창의적이게 된다. 명상, 뇌과학을 만나다. 명상 #meditation #내마음설명서 #마음챙김 #SBS #방송 #플라톤아카데미
[1부 티저] 20분의 기적 '내 마음 설명서' (SBS방송) 재단법인 플라톤 아카데미 후원
Переглядів 3,7 тис.Місяць тому
[1부 티저] 1부: 20분의 기적 '내 마음 설명서' (SBS방송) 재단법인 플라톤 아카데미 후원 -일시: 5월 12일 (일) -시간: 밤 11시 5분 -채널: SBS 명상 #meditation #내마음설명서 #마음챙김 #SBS #방송 #플라톤아카데미
[티저] 춤, 그림, 음악, 공부 당신이 하는 모든 것이 명상이 된다. ㅣ 20분의 기적 '내 마음 설명서' (SBS방송) 재단법인 플라톤 아카데미 후원
Переглядів 2,4 тис.Місяць тому
[티저] 춤, 그림, 음악, 공부 당신이 하는 모든 것이 명상이 된다. ㅣ 20분의 기적 '내 마음 설명서' (SBS방송) 재단법인 플라톤 아카데미 후원 -일시: 5월 12일, 19일, 26일 -시간: 밤 11시 5분 -채널: SBS #플라톤아카데미 #명상 #마음챙김 #뇌
김만권 정치철학자 - 외로움의 습격, 우리는 왜 외로운 세계를 맞게 되었을까? 왜 우리는 행복하지 않을까? 혼자인 기분 외로운 사회 [삶, 멈춰서서 바라보다 6회]
Переглядів 2,7 тис.Місяць тому
SBSbizX플라톤아카데미 [삶, 멈춰서서 바라보다 6회] 김만권 청치철학자 우리는 왜 외로운 세계를 맞게 되었을까? 왜 우리는 행복하지 않을까? 외로움의 습격, 외로운 사람들의 사회, 혼자인 기분
엄융의 명예교수 - 아프지 않고 건강한 삶을 위하여 [삶 멈춰 서서 바라보다 4회]
Переглядів 1,6 тис.Місяць тому
#엄융의 #건강 #몸 #마음 #스트레스 #질병 #인문학 #sbs인문학 #sbsbiz인문학 #인생의문제 #철학 #건강 #행복 #플라톤아카데미 #삶_멈춰_서서_바라보다 #인생 #인생의_문제 #인문학
[지혜의 나무]과학기술 시대의 의미 - 김홍중 교수, 전병근 지식큐레이터, #관계 #인류 #미래 #스마트폰 #대화 #교류 #소통 #건강 #사랑 #사랑 #연민 #공감
Переглядів 1,3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요즘은 길을 걸어도, 사람들이 스마트폰만 보고있고, 공공장소나 가정에서도 대화와 교류가 단절된 모습을 보여줍니다. 온라인에서도 건설적인 담론보다는 프로파간다에 쉽게 선동되거나 감정적으로휩쓸리는 경향 을 보이는데요. 그러는 한편 고용시작은 갈수록 불안하고 위태로워지면서 인간관계와 경제적 기반이 점점 불안해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러한 시류에 휩쓸리거나 함몰되지 않고 건강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주체적 으로 살아가기 위한 방법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우리가 기술시대에서 독점화되는 권력을 견제하고 사랑과 연민, 공감을 가지고 함께 살아갈수있는 사회를 만드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지관서가매니아 허혜선 기획.
[지혜의 나무] 기술 시대의 일과 삶 - 전병근 지식큐레이터, 기술에 의해 인류의 삶과 변화, #기술문명 #인간 #자유 #AI #노동 #본질 #환경 #존재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우리는 기술시대는 살고 있다. 기술에 의해 인류의 삶은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기술은 단순한 노동으로부터 인간을 자유롭게 하 고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고 믿어왔다. 과연 그런가? 기술문명이 본격화된 산업화 시기부터 현재까지 결과적으로 기술문명으로 인해 인류의 삶은 자유를 얻었는가? 혹은 삶의 질에 개선되었는가? 그렇다면 혹은 그렇지 않다면 삶의 질을 판단 할 수 있는 기준은 무엇인가? 더이상 통제할 수 없는 속도로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늦었지만 기술의 본질에 대해 짚어보며 우리 의 삶의 의미에 대해 자문하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2 KEY CONTENTS 기술이란 무엇인가? 기술문명은 어떻게 삶을 변화시켰는가? 기술의 주인은 누구인가? | 기술은 과연 인간을 자유롭게 하는가? 기술시대의 노동환...
[지혜의 나무] 기술시대의 리스크 - 김홍중 교수 리스크의 실체는 무엇인가? 이 싸움에서 이기는 것은 가능한가? #휴머니즘 #위기 #존재 #자유 #알고리즘 #노동환경
Переглядів 1,5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기술 시대의 리스크의 실체는 무엇인가? 이 싸움에서 이기는 것은 가능한가? 우리가 '기술시대의 위기'라는 말을 접하면 흔히 극변하는 기술환경에서 인간의 생존권이나 권리가 위협 당하는 문제를 먼저 떠 올리게 됩니다. 이 문제의식의 중심은 여전히 인간입니다. 그러나 앞으로 소개 될 책을 통해 우리는 이제 인간중심의 세계관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사실을 직면하게 됩니다. 만약 우리가 인간중심의 세계관에서 벗어난다면 기술시대의 위기에 대한 시각도 재정 립되어야 할 것입니다. 포스트 휴먼을 Beyond Human으로 본다면, 우리가 싸워야 할 위기의 실체는 무엇이고, 그 속에서 우리 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KEY CONTENTS 기술시대의 위기와 휴머니즘의 위기 동물, 자연, 물질은 인간과 다른 존재인가? 기...
[방송 안내] 삶, 멈춰서서 바라보다 (2024년 4월 28일, 22시)
Переглядів 6932 місяці тому
[방송 안내] 삶, 멈춰서서 바라보다 ■ 진행: 김만권 교수 ■ 일자: 2024년 4월 28일(일) 22:00 ■ 채널: SBS Biz (biz.sbs.co.kr/channel.html) - IPTV: SK B tv 26번, olleh tv 25번, LG U tv 27번 - 위성: skyLife 25번 *SBS Biz를 통해 방송되며, 이후 플라톤아카데미TV 유튜브 채널을 통해 다시 보실 수 있습니다. #외로움 #고독감 #행복 #혼자 #플라톤아카데미 #지관서가 #삶멈춰서서바라보다
신인류의 미래, 읽는 자 vs 읽지않는 자 (김재인 교수, 이현우 서평가, 이현진 대표), 독서의 종말, 디지털 시대의 독서, 독서의 가치 , 독서로 키우는 미래와 교육
Переглядів 6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지관서의 인생 테마 《지혜의 나무》 독서 캠페인은 '예술', '리스크', '인간다움', '존엄', '일과 삶'이라는 주제 아래 엄선한 추천 도서들을 함께 읽으며 삶의 깊은 지혜와 통찰을 발견하는 여정입니다. ■ 주제: 2024 독서의 의미 ■ 토론자: 《지혜의 나무》 자문위원 이현우 서평가 '로쟈', 이현진 대표, 김재인 교수 ■ 장소: 울산 시립미술관 지관서가 ■ 지관서가 인생테마 《지혜의 나무》: jigwanseoga.org/147 * 영상 기획: 지관서가 매니아 허혜선 (캠페인 기획: 지관서가 매니아 김은희) * 지관서가의 모든 강연 및 영상은 수익창출을 하지 않습니다. #독서교육 #생각하는힘 #독서와미래사회 #독서의힘 #문해력 #사고력 #지관서가 #플라톤아카데미
고립과 단절, 스스로 행복해지는 방법, 한계를 뛰어넘는 인간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장동선 #뇌 #과학자 #삶 멈춰서서 바라보다 #변화 #인간 #연결 #관계 #방향성 #외로움
Переглядів 20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강연 소개 ] 태초에 연결이 있었다_연결과 관계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뇌의 비밀 타고난 한계를 뛰어넘는 인간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과학 기술의 발전은 날마다 속력을 더해가고 펜데믹으로 전에 알던 삶의 방식이 완전히 바뀌어버렸습니다. 누군가는 2045년이면 인류가 영생을 얻을 것이라고 까지 말합니다. 미래에는 인간의 한계를 모두 기술로 대체한 증강 인간만이 살아남게 될까요? 정답은 ‘아니오’입니다. 인간은 끊임없이 변화하며 한계를 뛰어넘는 존재입니다. 특별히 우리의 ‘뇌’는 늘 변화하고 있으며 태어나면서부터 지금까지 우리는 단 한 번도 물리적으로 같은 뇌를 가지고 있었던 적이 없습니다. 관계속에서, 상황 속에서 늘 새로운 경험을 하고 끊임없이 배우고 있기 때문입니다. 본 특강에서는 연결과 관계의 방향성...
기술문명의 시대, 우리의 존엄은 어디에 있는가?(이현진 대표)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서, 기술시대의 도전, AI와 생명의 공존, 기술발달과 윤리, 존엄의 새로운 정의
Переглядів 1,7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지관서의 인생 테마 《지혜의 나무》 독서 캠페인은 '예술', '리스크', '인간다움', '존엄', '일과 삶'이라는 주제 아래 엄선한 추천 도서들을 함께 읽으며 삶의 깊은 지혜와 통찰을 발견하는 여정입니다. ■ 주제: 기술시대의 존엄 ■ 인터뷰이: 《지혜의 나무》 자문위원 이현진 대표 ■ 사회자: 이치훈 작곡가 (케렌시아 대표) ■ 이현진 대표 추천도서 -『나는 동물』, 홍은전 지음, 봄날의책, 2023 -『누가 나를 쓸모없게 만드는가』, 이반 일리치 지음, 허택 옮김, 느린걸음, 2014 -『우리가 볼 수 없는 모든 빛 1, 2』, 앤서니 도어 지음, 최세희 옮김, 민음사, 2017 -『어둠의 속도』, 엘리자베스 문 지음, 정소연 옮김, 푸른숲, 2021 ■ 지관서가 인생테마 《지혜의 나무》: jig...
기술시대에 인간답게 산다는 것은?(이현우 서평가, '로쟈') 기술시대의 인간다움에 대한 책, 인간과 AI의 공존, AI와 노동환경의 변화, 기술적 진보와 인간의 미래와 대안
Переглядів 1,4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기술시대에 인간답게 산다는 것은?(이현우 서평가, '로쟈') 기술시대의 인간다움에 대한 책, 인간과 AI의 공존, AI와 노동환경의 변화, 기술적 진보와 인간의 미래와 대안
기술은 예술의 자원일까? 위협일까? 기술시대의 예술의 미래, 책으로 만나는 AI시대의 예술(김재인 교수) #기술과예술 #AI예술 #기술시대의창작
Переглядів 1,3 тис.2 місяці тому
기술은 예술의 자원일까? 위협일까? 기술시대의 예술의 미래, 책으로 만나는 AI시대의 예술(김재인 교수) #기술과예술 #AI예술 #기술시대의창작
[예고] SBS BIZ채널 30일 (토) 21시 30분장동선 뇌과학자 - 고립과 단절, 스스로 행복해지는 방법, 한계를 뛰어넘는 인간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Переглядів 7163 місяці тому
[예고] SBS BIZ채널 30일 (토) 21시 30분장동선 뇌과학자 - 고립과 단절, 스스로 행복해지는 방법, 한계를 뛰어넘는 인간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바른 삶과 괴테 그리고 시...지혜, 희망, 사랑, 인생, 언어 [토크멘터리 전영애]
Переглядів 8 тис.5 місяців тому
바른 삶과 괴테 그리고 시...지혜, 희망, 사랑, 인생, 언어 [토크멘터리 전영애]
[토크맨터리 전영애]10년 후에 뭐 할래요?
Переглядів 3,2 тис.5 місяців тому
[토크맨터리 전영애]10년 후에 뭐 할래요?
토크멘터리 전영애 에피소드 2 - 산다는 것 [SBSbizX토크멘터리]
Переглядів 34 тис.6 місяців тому
토크멘터리 전영애 에피소드 2 - 산다는 것 [SBSbizX토크멘터리]
토크멘터리 전영애 에피소드 1 - 세상을 향한 못다한 마음
Переглядів 18 тис.6 місяців тому
토크멘터리 전영애 에피소드 1 - 세상을 향한 못다한 마음
[K-spirit] Mom, Here's How to Prepare for the End
Переглядів 1,2 тис.6 місяців тому
[K-spirit] Mom, Here's How to Prepare for the End
공존의 길찾기 공존을 말하다 - 토크멘터리 이택광 [SBSbizX플라톤아카데미]
Переглядів 3,1 тис.7 місяців тому
공존의 길찾기 공존을 말하다 - 토크멘터리 이택광 [SBSbizX플라톤아카데미]
[K-spirit] The Dawn of Korea's New Era as Seen by Tanheo (Moon-kwang Sunim)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7 місяців тому
[K-spirit] The Dawn of Korea's New Era as Seen by Tanheo (Moon-kwang Sunim)
[예고] 토크멘터리 이택광 (11/25, 밤10시, SBS Biz)
Переглядів 8587 місяців тому
[예고] 토크멘터리 이택광 (11/25, 밤10시, SBS Biz)
[K-spirit] What is the Middle Way Thought? (Prof. Kim Sung-chul)
Переглядів 1,2 тис.7 місяців тому
[K-spirit] What is the Middle Way Thought? (Prof. Kim Sung-chul)
[K-spirit] Exploring Korean Culture: BTS and the K-wave Perspective (Moon-kwang Sunim)
Переглядів 9887 місяців тому
[K-spirit] Exploring Korean Culture: BTS and the K-wave Perspective (Moon-kwang Sunim)
시민들에게 무작위로 가해지는 인체 실험에 동의할 수 있나요? 합당한 예방 조치가 필요한 이유 [인생의 발견 EP.36] | 성창원 철학자출연 : 성창원 철학자
Переглядів 1,2 тис.7 місяців тому
시민들에게 무작위로 가해지는 인체 실험에 동의할 수 있나요? 합당한 예방 조치가 필요한 이유 [인생의 발견 EP.36] | 성창원 철학자출연 : 성창원 철학자
[K-spirit] What Happens When Foreign Cultures Meet Korea (Moon-kwang Sunim)
Переглядів 1,1 тис.7 місяців тому
[K-spirit] What Happens When Foreign Cultures Meet Korea (Moon-kwang Sunim)
장기 이식이 필요한 자식을 위해 뇌물을 주는 부모는 나쁜 사람일까? 공평과 편향의 딜레마 [인생의 발견 EP.35] | 성창원 철학자
Переглядів 1,2 тис.7 місяців тому
장기 이식이 필요한 자식을 위해 뇌물을 주는 부모는 나쁜 사람일까? 공평과 편향의 딜레마 [인생의 발견 EP.35] | 성창원 철학자
사랑이 살린다 - 토크멘터리 전영애 [플라톤아카데미 X SBS Biz ]
Переглядів 9 тис.7 місяців тому
사랑이 살린다 - 토크멘터리 전영애 [플라톤아카데미 X SBS Biz ]

КОМЕНТАРІ

  • @user-sf9kg9oh2p
    @user-sf9kg9oh2p 6 годин тому

    친중국파가봐요 중국 엄청띠우네

  • @hwa-junglee8660
    @hwa-junglee8660 6 годин тому

    철학자들의 가르침이 저에게 절대적으로 맞지는 않겠지요. 하지만, 제 안에서 일어나고 있는 슬픔, 기쁨 등의 감정들을 단편적으로만 내버려 두지 말아야 겠다는 의미를 담고 갑니다. 기억에 남을 강의였어요

  • @hwa-junglee8660
    @hwa-junglee8660 День тому

    결국 두려움을 이겨내는건 자의식 이겠군요. 버릴건 버려야 하고, 또 사회의 역활도 필요하고... 두려움 없는 삶은 없겠지만요...

  • @hwa-junglee8660
    @hwa-junglee8660 День тому

    인간세상이 어떻게 공평하다고 정의 할 수 있겠습니까? 저는 보편적인 윤리관을 가졌다고 생각하지만, 아이의 병원치료 같은 극단적인 상황에서는 이기적인 판단을 할수밖에 없을것 같습니다. 이게 인간의 보편성 아닐까요?

  • @unofficial8585
    @unofficial8585 2 дні тому

    노블교수, 궤변을 늘어놓는군요

  • @hwa-junglee8660
    @hwa-junglee8660 3 дні тому

    저도 명상이라하면 특별한 자세의 특별한 순간이라는 생각을 많이 하고 있었어요. 2개월만 투자하면 좋아질 수 있다고 하니, 한번 해볼까요??

  • @ShannonLee-bq4db
    @ShannonLee-bq4db 3 дні тому

    정말 감동적으로 느끼는 바가 많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user-jv3me5vy6u
    @user-jv3me5vy6u 3 дні тому

    풍지박산》》풍비박산

  • @Live-to-die-vv2ng2zs4f
    @Live-to-die-vv2ng2zs4f 3 дні тому

    ego(자아)가 수백개라도 그것이 나라고 할만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불교에 참나라는 말이 있는 것이다. ego와 superego(초자아)는 우리의 안에 있는 타자다.

  • @hwa-junglee8660
    @hwa-junglee8660 3 дні тому

    인류가 신의 영역에 도전을 하는걸까요? 아니면 신이 되려는 것일까?

  • @user-xj4wg4vn1o
    @user-xj4wg4vn1o 4 дні тому

    인디아의 향불 힌디의 설된 브라흐만이 기우제를 지낼적에 국자졋는 방향을 더듬어 지금 한반도에 고마운 비가 내리는 거라면 얼렁 우리가 실크로드 따라 수로를 놓아 인디아에 노나줘야 하는건 아닌감? 그럼 난 그 수로에 물과 더불어 삼장법사 발자국따라 서역에 한 번 가볼텐디 세 친구들 다시 불러 노저으라 허구 2024.06.22 화산동에서 안쏘니권 (지금 비 옴) 강성용교수님께 드립니다♡♡♡

  • @user-ep3xm3bm9c
    @user-ep3xm3bm9c 4 дні тому

    감사합니다

  • @user-rz7ys9bv4o
    @user-rz7ys9bv4o 4 дні тому

    제사에 대한 말씀을 듣고 우주와 내 행위의 연관성중 바로 생각 나는 것은 그믐 밤 물 그릇에 닮긴 달을 연상합니다. 물을 저으면 달이 흔들리죠^^ 옛 어머님들께서 자녀들을 위해 몸을 정갈하게 하시고 장독대에 정한수 떠 놓고 두손 모아 비시는 모습...

  • @hwa-junglee8660
    @hwa-junglee8660 4 дні тому

    백인백색- 사람마다 모두 생각이 다르죠. 그렇기 때문에 당연히 갈등이 생길텐데... 다름을 인정하고 공존의 방식을 찾아야만 겠습니다.

  • @user-vy8tw3dz2f
    @user-vy8tw3dz2f 5 днів тому

    어찌 이리도 해박하신지 경이롭습니다. 이외에도 많은 강의 들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hwa-junglee8660
    @hwa-junglee8660 5 днів тому

    기쁨 이라는 화두는 행복이라는 화두와 비슷한것 같아요. 추상명사이고, 사람마다 같은 상황에서도 느끼게 되는것이 다르니까요. 그러나 물질적 혹은 보이는 것에 연연하지 않는 생활이 기본이 되어야만 기쁨도 행복도 찾아오는것 같습니다.

  • @hwa-junglee8660
    @hwa-junglee8660 6 днів тому

    나를 어떻게 키울것인가? 삶의 방향 선택이 중요한데, 속도에만 연연하지 않았나 반성해봅니다. 독문학자가 아니라 철학가 같기도 합니다.

  • @grace-ey8mm
    @grace-ey8mm 6 днів тому

    이 양반 안되겠구먼~~~~

  • @user-xk5ju1mn7j
    @user-xk5ju1mn7j 7 днів тому

    우리는 공부를 너무 열심히 해 학자보다 학생을 추구하는 이 나라의 풍토는 이를 접할 때마다 안타깝네요 니체가 그러했을까요 니체는 우리와 다른 천재이니 그럴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나요

  • @user-xk5ju1mn7j
    @user-xk5ju1mn7j 7 днів тому

    너무나 초라한 건축가 니체 아마츄어

  • @user-uo1mu1ju7f
    @user-uo1mu1ju7f 7 днів тому

    좋은관점으로말씀하시니 이웃끼린사이좋게지내는것이참좋읍니다세계는 한반도가장자의나라라고생각합니다 만년이상의천부경이그렇습니다 아메리카인디언도몽골반점이있는데같은피가흐른다고봅니다 언어도같은게많고그땐지형이붙어있었는데바다가갈라친겁니다 앞으로한반도가원시반본해서세계를이끌어간다봅니다

  • @hwa-junglee8660
    @hwa-junglee8660 7 днів тому

    공감합니다 그냥 오래 사는게 중요한게 아니라 건강하게 사는게 더 중요한건데... 나 혼자 건강하자고 하는것보다 함께 건강했으면 합니다

  • @ggcross659
    @ggcross659 8 днів тому

    세 마리 짐승에 은유적 상징성과 관련된 여러 학설이 존재합니다. 이렇게 별다른 설명도 없이 단정적으로 말하는 것에 실망했습니다.

  • @user-dz7ct3bj4s
    @user-dz7ct3bj4s 8 днів тому

    화 6~7 현대사회와 디자인 수업 듣는 김정확 학생입니다. 기말 발표 기간이라 다시 듣습니다.

  • @mottobass
    @mottobass 8 днів тому

    이분 간철수씨 지지했었는데,,, 무슨 판단으로 그랬는지... 안철수는 이후 단일화하고 손가락을 안잘랐지...

  • @user-ii8mw2dk3q
    @user-ii8mw2dk3q 8 днів тому

    28:34 이 작품과, 한참 앞의 사자,표범,늑대가 나온 작화 작품이 같은 화가가 그린것같은데 화가가 누구인지 궁금합니다~~혹 어떤책에 삽입된 그림인것인지..

  • @wooden-fish4676
    @wooden-fish4676 9 днів тому

    모르는 놈들의 공통점은...고집을 세우는 거지요...ㅎㅎㅎ

  • @wooden-fish4676
    @wooden-fish4676 9 днів тому

    이택광...창피한줄도 모르는....편협한 인문추종자!!

  • @hwa-junglee8660
    @hwa-junglee8660 9 днів тому

    톰 크루즈가 나왔던 영화 마이너리티리포트가 생각나는 강의입니다. 음주운전을 금지하는 법률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게 되고요. 인간의 행동에 대해 자유와, 타인에 대한 배려가 함께 고려 되어야만 합니다.

  • @kokomo99160
    @kokomo99160 9 днів тому

    01:30:00 인격동일성 1:30:06

  • @mmscks2000
    @mmscks2000 9 днів тому

    윤통 1년 결과가 대한민국을 중심에 넣고 의 정통통을 지키는 잘한일? 과연?,미치겄다 정말

  • @mmscks2000
    @mmscks2000 9 днів тому

    이분이 윤대통령 거드는거 보신분? 난 이후 이사람말 안 믿어요. 말로만 번지르르 말과 행동과 판단력이 따로놀아? 완전 실망.이전에 들었던 귀를 닦고 싶었음

  • @user-hx6wg6ed1f
    @user-hx6wg6ed1f 10 днів тому

    소박한 대답이었습니다 ♡❤️이제서 들리네요 늦는건 세상에 없습니다

  • @user-hx6wg6ed1f
    @user-hx6wg6ed1f 10 днів тому

    교수님 안녕하세요 선생님의 책을 읽고 나서 감동을 받았습니다. 괴테는 그 거대함과 이 소박함이 동시에 참인 드문 인물이었습니다. 라고 하셨지요. 저도 깊이 생각한 부분 입니다. 선생님이 쓰신 단어 '소박함'이 저를 놀라게 했습니다. 저는 '겸손'이라고 생각해 보았는데요. 소박함의 깊이가 맞는것 같구요. 전율을 느낀 부분입니다..200쪽~203쪽

  • @user-bp7tf2bi5v
    @user-bp7tf2bi5v 10 днів тому

    알릴레오북스 최정균교수편 마지막부분이 생각나는 대담이네요 본질과 실존

  • @user-yy2wo7vk5j
    @user-yy2wo7vk5j 10 днів тому

    현대사회와 디자인 화 6,7교시 한승우 자세히 알지 못했던 역사에 대해 알게된 것 같아서 좋았습니다

  • @user-xq7ol7uh6k
    @user-xq7ol7uh6k 10 днів тому

    혹 '세자가 사라졌다' jtbc 드라마의 모티브(대비의 불륜)가 이 이야기에서 따온 듯요^^

  • @user-xq7ol7uh6k
    @user-xq7ol7uh6k 10 днів тому

    조희 친정엄마의 말들이 진정 명언들이네요^^ "~ 오늘 죽느냐? 내일 죽느냐? 만 다를 뿐~~"

  • @user-xq7ol7uh6k
    @user-xq7ol7uh6k 10 днів тому

    '자초'는 군사전략 등 경험을 쌓기위해 조나라 공략에 나선 왕전 장군의 군대에 함께 나섰다가 생포되어 조나라에 볼모로 남게 되었던 것이란 학설도 있습니다^^ 그래서 일반적 볼모와는 차별적인 대우를 받았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조희 술집 여자설'도 요즘의 '쥴2 파동'과 오버랩 되는 건 저 혼자만의 뇌피셜일까요? 동서고금 역사를 둘러볼 때 사마천 사기의 기사들도 온갖 '가짜뉴스'들이 판치는 요즘과 별 차이가 없어 보입니다 ^😂^

  • @user-et2fl4rz1h
    @user-et2fl4rz1h 10 днів тому

    읽어볼 엄두도 못냈는데 알기 쉽게 강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눈이 번쩍 뜨이는 느낌입니다.

  • @dlwndud2753
    @dlwndud2753 10 днів тому

    현대사회와 디자인 화 6,7교시 이주영 역사에 대해서 원래도 흥미를 가지고 있었지만 더욱 흥미를 가지게 만들어 주는 재밌고도 유익항 강의였습니다.

  • @user-gt3fb3ej8x
    @user-gt3fb3ej8x 11 днів тому

    아직도 똥을 입으로 배설하냐...

  • @user-ei7wd7fu2i
    @user-ei7wd7fu2i 11 днів тому

    넘넘 잼있게 들었어요 제작해 주셔서 감사해요!!❤

  • @user-vp9qq8gm9o
    @user-vp9qq8gm9o 12 днів тому

    믿는놈이 오늘은 또 부처님천양 양다리 삼다리

  • @user-vp9qq8gm9o
    @user-vp9qq8gm9o 12 днів тому

    계속 두고두고 파먹고사는 그소리그소리 사탕발림 얄팍한개소리

  • @user-vp9qq8gm9o
    @user-vp9qq8gm9o 12 днів тому

    조갑재 김똥길 비슷한 간웅

  • @user-vp9qq8gm9o
    @user-vp9qq8gm9o 12 днів тому

    뻔뻔한놈 편생양지만찿아 강의만쫓아 돈만아는놈 평생 남을위해 일전도 쓰지안고 얻어먹고만산 양아치 얄팍한놈

  • @user-vp9qq8gm9o
    @user-vp9qq8gm9o 12 днів тому

    정말 이중인격자 변절자 너무거짖을 잘하는 놈 전두환옹호자 군에들어가려다 저의누나의백으로 서울로와 교수 하고 주둥아리로 죽기까지영화누린 욕심장이평생 자기만을위한 평생자선한번 안해본놈 교회가면 예수찬양 절에가면 석가 찬양 유교가면. 공자 맹자 찬양 전형적인간신

  • @user-mv6vg8ge4g
    @user-mv6vg8ge4g 12 днів тому

    현대사회와 디자인 화 6,7교시 오수연 잘 모르고 있던 역사에 대해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보며 일본과 우리나라의 관계에 대해 다시 생각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열린 사고를 통해 역사를 마주함으로써 올바른 역사관을 가질 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준 강의였습니다.

  • @user-ij5lq2sc5h
    @user-ij5lq2sc5h 12 днів тому

    현대사회와디자인 6,7교시/김수민입니다. 평소 교과서만 보고 역사 공부를 했었는데 이렇게 살아있는 역사에 대해 배울 수 있어 좋았습니다